본문 바로가기

제약·바이오·병원·뷰티

분당서울대 유희정 교수팀, 새로운 자폐 유전변이 발견

728x90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유희정 교수팀이 자폐증의 원인과 관련이 있는 새로운 유전자 변이를 세계 최초로 발견했다. 

 

유희정 교수팀은 자폐증을 가진 사람과 가족 813명으로부터 혈액을 공여받아 유전체를 분석하고 인간 줄기세포를 제작해 태아기 신경세포를 재현했다. 유전체 데이터의 98%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나 단백질을 직접적으로 만들어 내지 않기 때문에 그간 연구에서 배제되었던 유전체 영역인 비(非)부호화(Non-coding) 영역을 집중적으로 연구했다. 

 

연구결과 생애 초기 신경 발달단계에 삼차원 공간에서의 상호작용을 통해 비부호화 영역에 있는 유전변이가 멀리 떨어져 있는 유전자 변이에도 원격으로 영향을 미침으로써 뇌 발달에 영향을 주는 것을 세계 최로로 밝혀냈다. 

 

이번 연구는 단백질을 부호화 하는 영역에만 집중됐던 자폐증 연구 패러다임을 바꿀수 있는 계기가 될 수있고,  북미와 유럽 위주로 진행되던 자폐 유전체 연구에서 벗어나 아시아 최대 규모 전장-유전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코호트를 구축하고 유전체 분석 모델 기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미가 있다. 

 

유희정 교수는 "이번 연구는 우리나라 연구진이 한국인의 자페증 당사자 및 가족 고유의 데이터를 활용해 자폐증의 비밀을 풀 수있는 첫걸음을 내딛었다는 점에서 매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논문은 세계적인 정신의학 학술지인 ‘분자 정신의학(Molecular Psychiatry)’에 게재됐으며, 해당 연구는 서경배과학재단, 한국연구재단, 보건산업진흥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KAIST 의과대학원 이정호 교수, 바이오 및 뇌공학과  최정균교수, 기초과학연구원 김은준 단장,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이 참여했다. 

 

자폐증은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에서 보이는 주인공처럼 의사소통장애나 사회적 상호작용의 결핍과 함께 반복적 행동이나 관심사의 협소를 특징으로 하는 발달 장애다. 대게 만 2세 전후에 특징적인 증상이 드러나 진단이 가능한데, 어린 나이에는 뇌가 빠르게 성장하고 발달하므로 일찍 발견해 개입하면 좋은 경과를 기대할 수 있다. 

 

자폐증 발생에는 유전자의 변이가 큰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다양한 유전자의 변이 중에 어떤 것이 중요한고 결정적인지, 그리고 그 유전자가 생애 최초 뇌발달에 정확히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는 밝혀지지 않았다. 그래서 사회성 결핍이나 의사소통 장애 등 핵심 자폐증 증상을 개선할 수 있는 치료제를 개발할 수 없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