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약·바이오·병원·뷰티/헬스톡톡

땀은 왜 흘리는 걸까?

728x90

본격적인 여름이다. 여름철에 생기는 여러 가지 고민거리 중 하나는 ‘땀’이다. 땀을 너무 흘리는 사람들은 여름철이 괴롭다. 옷도 자주 갈아입어야 하고 남 보기에도 안스럽고 무엇보다도 그 끈적이는 느낌이 아주 싫다. 땀은 왜 흘리는 것이고 이를 피하는 방법은 없을까?

  

땀은 왜나는 것일까?

사람은 항온 동물이다. 즉 주위 온도와 관계없이 일정한 체온을 유지하는 동물이다. ‘땀이 나는 것’은 인체가 가지고 있는 체온을 조절하는 기능중 하나이다. 일정한 체온을 유지하려면 생산된 열을 방출해야 한다. 

방출하는 방법은 3가지인데 복사, 대류, 수증기 증발 등이 그것이다. 대류란 피부온도가 주위 공기 온도보다 높으면 열이 공기 쪽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선풍기를 틀면 대류가 보다 활발해져 더욱 시원하게 느끼는 이유이다. 




다음이 수증기 증발이다. 물이 증발되면서 몸의 열의 빼앗아 가 체온조절이 된다. 땀이 나지 않더라도 피부나 호흡기 등에서 하루 0.6리터 정도의 수분이 증발되면서 열을 방출한다. 보다 능동적으로 열을 방출할 필요성이 있으면 땀을 만들어서 증발시킨다. 피부표면으로 나온 땀이 마를 때 몸의 열을 빼앗아 가므로 체온이 더욱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땀은 열 생산이 너무 많거나 주위 온도가 너무 올라가는 경우에 나는 것이다. 


열 생산은 고된 신체 활동이나 심한 감기, 폐렴 등 고열성 질환, 갑상선 기능항진증과 같은 질병 등이 있을 때 많아진다. 무더운 여름날엔 주위의 온도가 올라가면 체온이 같이 올라가는 것을 막기 위해 땀을 흘리게 된다. 주변 온도가 34도를 넘어가면 열 방출은 거의 땀으로만 이루어진다. 그래서 사우나에 들어가 있으면 온 몸이 땀으로 뒤덮이게 된다. 물론 더위가 너무 심하면 땀으로만 체온 조절이 불가능해서 쓰러지기도 한다. 한여름이라도 습도가 높으면 땀이 증발이 잘 안되므로 더 고통스럽게 덥게 느끼는 것이고, 건조하면 땀이 빨리 증발되기 때문에 덜 덥게 느껴진다. 그런데 재미있는 사실은 땀을 흘릴 때 땀이 증발되지 않고 방울, 방울 떨어진다면 열 방출이 안 된다는 것이다. 땀을 흘렸을 때 선풍기 바람을 쐬면 무척 시원하게 느껴지는 이유는 대류도 잘되면서 땀이 방울, 방울 떨어지고 않고 증발하면서 몸의 열을 보다 빨리 빼앗아 가기 때문이다. 


우리의 피부에는 약 2백만에서 5백만 개 정도의  땀샘(한선, 汗腺)이 있다. 땀샘은 포유 동물에서만 있는 것으로 특히 인간에게 많다. 주로 땀샘은 손바닥과 발바닥에 특히 많기 때문에 손에 땀이 나는 경우가 많다. 땀의 양은 보통 자고 있을 때라도 한 컵 정도의 땀을 흘리며 많이 나면 한시간에 1리터 이상 땀을 흘린다고 한다. 

땀은 더울 때만 나는 것이 아니다.  땀샘을 자극하는 신경(즉 교감신경)이 다른 원인으로 자극 받아도 날 수 있다. 긴장하거나 흥분하면 교감신경이 자극을 받아 땀이 나게 된다. 이때는 덥지도 않은데 땀이 나므로 오히려 서늘하거나 춥게 느껴서 식은땀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자신이 땀을 많이 흘린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혹시 땀이 많이 흘리는 것이 몸이 허약하거나 어떤 질병을 동반한 것이 아닌가 걱정하기도 한다. 질병이 아니어도 식사를 하거나 운동을 하게 되면 체내의 온도가 높아져 땀이 나게 되어 있다.


병적으로 땀이 많아지는 질병은 주로 호르몬 작용이나 감염 등으로 열 생산이 많아지는 경우이다. 고열을 동반한 질환, 감염성 질환, 갑상선 기능항진 등이 그 예이다. 갑상선 기능 항진증은 몸 속의 신진대사가 빨라지는 병으로 몸이 떨리고, 맥박이 빨라지고 체중이 감소하면서 더위를 참지 못하는 증상을 동반하다. 감염성 질환 중 결핵은 고열도 없으면서 미열과 함께 밤에 식은땀을 흘리기도 한다.


열 생산이 많지 않은데도 땀이 너무 많이 나면 ‘다한증’이라는 질병을 의심해볼 수 있다. 다한증은 그냥 땀을 많이 흘리는 사람과 다르다. 땀이 너무 나서 손에서 땀이 방울져 떨어질 정도여서 남과 악수하기 어렵거나 더운 환경, 맵거나 뜨거운 음식을 먹을 때, 갑자기 손이나 발, 얼굴에서 많은 양의 땀이 비오듯이 나며 또한 한번 시작하면 한참동안 그치지 않고 땀이 지속된다. 시험 볼 때 시험지가 젖거나, 작업을 할 때 손이 미끄러져 작업에 지장을 받는다. 전 인구의 0.6~1% 정도에게 나타난다. 다한증 치료는 수술로 교정하는데  땀 분비를 관장하는 가슴 속 교감신경을 겨드랑이에 구멍을 뚫은 뒤 흉강경으로 잘라주는 수술 방법이다.


질병으로 인해 열 생산이 많아져서 땀이 많이 나거나 다한증이 아니라면 땀은 인체에 해롭거나 크게 문제될 것은 없다. 다만 심한 더위나 사우나에서 너무 많은 땀을 흘리면 몸 안의 수분과 전해질에 불균형을 가져 올 수 있다. 즉 탈수 현상이 생길 수 있는데 이온음료 같은 수분 섭취를 늘려주면 막을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