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약·바이오·병원·뷰티/헬스톡톡

더워서 더 괴로운 갑상선 기능항진증

728x90

여름이 다가오고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기 시작하면 부쩍 늘어나는 질환들이 있다. 그 중 대표적인 질환이 갑상선기능항진증인데, 이유는 높은 온도와 습도에 따른 알레르기, 바이러스 감염, 자외선 노출 등을 꼽을 수 있다. 특히 과거 갑상선질환의 병력이 있는 경우 여름이 되면 증상이 다시 나타나거나, 더욱 심해져 병원을 찾는 사람들이 부쩍 늘어난다. 올해도 벌써 한낮에는 초여름 날씨가 이어지고 올해도 극심한 무더위가 예상되면서 갑상선 질환자들에게는 꽤 곤혹스런 여름이 될 것 같다. 


유난히 더위를 못 참는 증상 보여

갑상선 기능항진증은 갑상선호르몬의 과다분비에 의해 우리 몸의 대사속도가 빨라지는 질환이다. 그 결과 우리 몸이 정상적으로 활동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보다 더 많이 만들어 낸다. 이렇게 과도하게 만들어져 남는 에너지가 열의 형태로 발산되어 유난히 더위를 느끼게 된다. 갑상선기능항진증은 여성대 남성의 유병률이 9:1에 이를 정도로 여성에게 압도적으로 많으며, 여성 100명당 한두명 정도가 이 병으로 고생할 만큼 흔한 질환이다.

갑상선 환자들은 일반인들에 비해 땀을 많이 흘리고 유난히 더위를 못 참는다. 특히 병에 걸렸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던 사람이 여름이 되면서 너무 더위를 탄다고 병원을 찾아와 병을 발견하는 경우도 많다.

이밖에도 심혈관계의 운동성이 증가하여 맥박이 빨라지고 손을 떨게 되며, 많이 먹는데도 불구하고 체중은 감소한다. 정신적으로도 불안정하여 우울증 또는 공격성을 보이기도 한다. 장의 운동은 빨라져 화장실을 자주 찾게 되고 여자에서는 월경주기가 불규칙해지면서 그 양이 작아지고 심지어 아주 없는 경우도 생긴다. 진찰을 해보면 갑상선의 비대로 목이 불룩하게 나온 것을 볼 수 있고 마치 놀란 듯이 환자의 눈은 커 보인다. 심한 경우에는 양측의 눈이 돌출되는 경우도 있다.


갑상선 기능항진증의 원인

갑상선 기능항진증의 원인에 대해 전문의들은 류마티스관절염이나 루프스 등과 같은 면역체계의 이상으로 설명하고 있다. 우리 몸의 면역계는 외부의 이물질이나 세균, 바이러스에 대해서 이들을 내가 아닌 남으로 인식하고 공격, 퇴치함으로써 우리 몸의 건강을 유지한다. 이런 면역계에 이상이 생겨 정상적인 우리 신체의 일부분을 남으로 인식하고 공격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자가면역질환이라고 한다. 갑상선 기능항진증은 자가면역질환의 하나로 우리의 면역계가 갑상선의 일부 구조를 남으로 인식하면서 자가면역 반응을 유발하고, 그 결과 갑상선세포가 증식하고 갑상선호르몬이 과다 생산되는 질환이다. 또 흥미로운 것은 일부 자가면역 질환들은 날이 덥고 햇빛이 강한 여름에 악화되는 경향을 보여 갑상선기능항진증이 여름에 재발 및 악화되거나 발병하기 쉬운 것이다. 


갑상선 기능항진증의 치료-약물, 동위원소, 수술 등의 방법

갑상선 기능항진증의 치료는 대표적으로 약물요법, 동위원소(방사성 요오드) 치료, 수술 등 세 가지로 나뉜다. 약물요법은 메치마졸, 카비마졸, 안티로이드(PTU) 등의 항갑상선제를 쓰며 통상 1~2년간 투여하고 약제를 끊은 후 재발여부를 관찰하는 치료법으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히 쓰이는 치료법이다. 대개 2개월 정도만 복용해도 갑상선 기능이 정상화되고 증상이 좋아지는데 약은 바로 끊지 않고 서서히 줄여나간다. 약물의 투여기간이 짧으면 재발 가능성은 높아지는데 여름으로 접어드는 시기에는 특히 약의 용량 조절을 신중히 해야 한다. 


방사성요오드 치료는 항갑상선제 투여나 수술 후 재발한 환자, 항갑상선제에 부작용이 있어 복용할 수 없는 환자, 약을 불규칙하게 복용하여 치료가 안되는 환자에서 고려하며 재발 가능성이 높은 환자에서 처음부터 시행하기도 한다. 방사성요오드를 먹으면 갑상선에만 흡수되어 갑상선을 파괴하고 신체의 다른 부위에는 거의 영향이 없으므로 ‘먹는 수술 치료’ 정도로 이해할 수 있다. 1~2회 정도의 치료제 복용으로 병을 완치시킬 수 있고 자주 혈액검사를 하면서 약 용량을 조절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 다만, 임신부나 수유부에서는 금기이며 치료 후 갑상선 기능이 오히려 정상보다 감소하는 갑상선기능저하증이 반수 이상에서 발생한다. 


수술은 항갑상선제와 방사성요오드 요법이 보편화되면서 그 역할이 축소되었으나 다음의 경우는 꼭 필요하다. 장기간의 약물치료에도 반응이 적은 환자이거나 약제에 부작용이 있는 환자에서 방사성요오드 치료는 어려운 경우, 갑상선종이 매우 커서 주위조직을 압박하는 경우, 갑상선암이 의심되는 결절이 같이 있는 경우 등인데 이럴 때는 갑상선을 전문적으로 수술하는 외과의와 상의하여 수술할 것을 권유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