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자
- 말콤 글래드웰
- 출판
- 21세기북스
- 출판일
- 2014.01.27
강자를 이기는 약자의 기술이라는 책 제목이 흥미로웠다.
약육강식, 승자독식, 거대자본의 시장 잠식이 일상적인 요즘 대부분의 서민은 약자의 위치에 있을 수 밖에 없다. 그런데 우리 같은 약자가 강자를 이길 수 있다고?
머릿말에서 자그마한 체구의 다윗이 거구의 골리앗을 이길 수 있었던 이유에 대한 설명이 나온다.
골리앗은 당연히 칼을 휘두르고 몸을 부딪히며 싸우는 근접전을 생각했지만, 다윗은 투석병이었기 때문에 근접전은 생각도 하지 않았다. 강자가 짜놓은 판에서 휘말리지 않고 자시만의 방식으로 싸웠기 때문에 이길 수 있었다는 것이다.
같다
제1부 약점의 유리함, 강점의 불리함제2부 바람직한 역경에 대한 이론
제3부 힘의 한계
경제학자로만 알고 있던 선대인 소장이 옮긴 책인데, 번역이 아주 깔끔하게 느껴지지는 않는다. 외국 사례들로 꾸면진 책이라 인물명, 지명 등이 글의 내용 이해하는데 방해가 된다고 느껴지기도 한다. 또 내용이 진부하고 지루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말콤 글래드웰은 약자가 강자를 이긴 사례들의 설명을 통해 단점을 강한 의지와 실행력으로 극복한다면 오히려 강점이 될 수 있고, 그때 비로소 약자가 강자를 이길 수 있다고 설명한다.
뒤집어진 U자형 곡선에 대한 내용은 신선했다.
이 곡선은 더 많은 것이 항상 더 좋은 것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학생수가 적은 학급이 높은 학습효율을 보이는 것이 많지만 일정한 지점을 지나 학생 수가 너무 적어지면 학생들끼리 배울 것이 적어 오히려 학습효과가 떨어진다. 또 돈이 많은 부모가 자녀에게 좋은 교육을 시켜줄 수 있는 것은 맞지만, 너무 돈이 많은 부모의 자녀는 그렇지 못한 아이들보다 성취율이 떨어질 수 있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시간과 돈과 노력을 무한정 투입하더라도
특정지점 이후엔 효과가 없거나, 역효과가 발생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약자라고 항상 지고 살 수는 없지 않은가.. 우리가 가진 약점 중에 장점으로 승화시킬 수 있는 부분이 없는지 한번 되돌아봐야 겠다.